맞춤법 검사기 뭐가 제일 좋을까?(비교 및 추천)

안녕하세요. Kim 입니다. 좋은 글은 정확한 맞춤법과 문법을 기반으로 합니다. 하지만, 혼자서 긴 글을 작성하거나 여러 번 검토를 하여도 오타나 문법 오류를 놓치기도 합니다. 이럴 때,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여 완벽하게 글을 표현해야 하는데요. 한국에는 주로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지만, 정확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맞춤법 검사기의 특징을 알아보고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블로그 중 포스팅한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 사이트에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비교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크린샷 2023 11 03 145931
⬆️비교 내용⬆️

1.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먼저,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는 매달 80만명이 사용하고 있는 인기있는 검사기입니다. 하지만, 많은 이용률과 비례하여 단점도 상당히 많은데요.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의 특징과 단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징

네이버 한글 맞춤법 검사기는 가장 인기 있는 맞춤법 검사기로 네이버 포털의 일부로 제공되고 별도의 앱 설치나 회원가입 없이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단점

스크린샷 2023 11 03 151401

한정된 언어 지원: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는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며, 다른 언어에 대한 검사 시 오류 발견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글자수 및 문맥 고려 부족: 다른 검사기와 달리 한번 작성 시 300~500자 까지만 지원됩니다. 그리고 문맥에 따라 오류가 날 확률이 높고 사용자들이 더 헷갈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문 용어 제한: 특정 분야나 전문 용어의 맞춤법 오류를 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네이버 맞춤법을 사용 한 결과, 모든 내용을 담지 못했고 300자 이상이면 내용이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그리고 사진을 보면 ‘교정결과 오류 제보‘ 부분이 있는데 네이버 조차 확신을 못하는 건지 오류가 아니여도 오류로 표시되면 제보를 할 수 있습니다. 사용 후기는 별로 믿음직하지 못한 맞춤법 검사기인 것 같습니다.


2. 인크루트 잘쓸랩

인크루트 잘쓸랩은 취업과 문서 작성 오류를 잡아주는 사이트로 15,000자 까지 글자수를 지원합니다.

사용설명

  • 먼저, 인크루트의 웹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웹페이지에서 ‘잘쓸랩’ 페이지로 이동 후 글자수와 맞춤법 검사기 메뉴 클릭합니다.
  • 작성하려는 문서의 내용을 입력합니다.
  • 맞춤법 검사 버튼을 클릭합니다.

특징

스크린샷 2023 11 03 153410

색깔별 오류 정리

  • 맞춤법 오류->붉은 색
  • 띄어쓰기 오류-> 녹색
  • 표준어 의심-> 보라색

오류 수정

  • 총 12개의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 오류를 수정하려면 해당 오류 단어를 클릭하고 수정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본인이 의도적으로 사용한 단어는 해당 단어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 내용 표시

수정한 내용은 원본 글에서 파란색 폰트로 표시됩니다. 어떤 부분이 수정되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수정된 내용을 다시 검사하거나 복사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외국어 지원 시 정확한 오류를 집어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무료로 15,000자까지 글자수를 포함한다는 점과 한국어 오류 부분을 미세하게 잡아준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인크루트 잘쓸랩 이용하기👈


3.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는 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나라인포테크가 공동 개발한 한국어 맞춤법 및 문법 검사 도구로, 가장 처음으로 맞춤법 검사기를 도입했습니다. 특히, 한국어 글쓰기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온라인 웹 서비스와 임베드용 검사기 엔진으로 제공됩니다.

참고로,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2010년과 2014년부터 자체적으로 맞춤법 검사기를 개발하여 API를 무료로 공개했는데, 네이버와 카카오 맞춤법 검사기가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를 무단으로 복제한 것이라 주장해, 이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고 합니다.

특징

스크린샷 2023 11 03 154558

오류 이유 상세 설명: 총 10개의 오류를 표시하였고, 다른 맞춤법 검사기에 비해 오류 이유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문법 또는 맞춤법 오류를 수정할 때, 해당 오류가 왜 발생했는지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서 더 많은 학습과 실수의 반복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류 수정 기능: 문서에서 발견한 오류를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오류를 발견하면 해당 오류 단어를 클릭하고 “수정” 버튼을 누르면 해당 단어가 수정됩니다.

임베드용 검사기 엔진: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는 온라인 웹 서비스로 무료로 제공되고웹 브라우저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원하면 임베드용 검사기 엔진을 구매 할 수 있어, MS Word/아래아 한글용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색깔별로 오류가 분류되지 않아 띄어쓰기 문법 등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헷갈립니다. 글자수의 범위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보통 7000자를 넘어가면 인식을 할 수 없는 표시창(열기 실패)이 뜹니다. 게다가, 다른 사이트에 비해 버퍼링이 존재하고 다시작성해야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맞춤범 검사기 이용하기👈


오늘은 맞춤법 검사기에 대한 포스팅일 해보았는데요. 한국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3곳을 같은 내용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각 맞춤법 검사기마다 특징과 단점이 있으므로 본인에 맞는 검사기를 이용해보시길 바라면서 마무리 하도록하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 얻어가세요!👇

Leave a Comment